성인 아토피와 소아 아토피의 차이점은?
- 피부 치료/아토피
- 2012. 3. 7. 06:00
성인 아토피와 소아 아토피의 차이점은?
해마다 아토피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아토피 피부염은
면역기능저하 그리고 환경오염, 스트레스,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 물질 등
외부환경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아토피의 특성 중 주목할만한 것은
놀랍게도 환자의 연령에 따라 질환의 분포와 양상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영유아기에 발생하는 아토피 피부염은 태열에 의해 팔다리 바깥쪽, 머리, 얼굴에 진물, 딱지가 발생하며
소아기(3~10세)에는 팔다리의 접지부, 목이 접히는 부위가 건조해지고 마른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사춘기 이후부터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은
머리, 얼굴, 목, 가슴, 등에 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지루성 습진 등이 발생합니다.
이시기에 발생하는 아토피는 몸 상태 및 계절에 따라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다가도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날씨가 건조해지면 다시 재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어린나이에 발생하는 아토피 피부염은 대부분 커가면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질환의 원인을 제거해주면 나아집니다.
가려움증을 완화하고 긁어서 생긴 상처에 2차 세균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피부 보습 관리에 힘쓰면 치료가 가능합니다.
반면 성인아토피는 식습관, 불규칙한 생활과 스트레스 등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소아아토피에 비해 개선하기가 어렵고 치료가 까다로우며 치료 기간이 길고 재발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성인아토피의 경우 관리가 더욱 더 필요한데요,
적정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겨울에도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줘야합니다.
또한 땀 흡수력이 높은 면 소재의 옷을 입고 고보습 제품을 발라 피부를 촉촉한 상태로 유지합니다.
인스턴트식품 및 가공식품, 기름진 음식, 카페인 음료 섭취를 삼가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미역과 다시마, 녹황색 채소를 먹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